[김대호의 경제읽기] 한은, 기준금리 동결…경기·증시 불안에 '숨 고르기'<br /><br /><br /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0.75%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시장에선 다음 달에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어떤 배경 때문인지 향후 금리는 어떠할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국제 유가가 7년 만에 배럴당 80달러를 돌파하며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가오는 겨울철 수요 증가로 유가가 더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고유가 현상의 원인과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어떨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김대호 박사와 함께합니다. 안녕하세요?<br /><br />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.75%로 동결했습니다. 가계부채도 여전히 늘고 있고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어 동결과 금리 인상을 각각 예상하는 목소리가 많았는데요.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에 나선 배경은 무엇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10월 기준금리가 동결됐지만 시장에서는 11월에 기준금리가 인상될 거라 예상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.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11월 회의에서 추가 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는데요. 어떻게 예상하시나요? 한은이 현재 고려 중인 변수는 뭘까요?<br /><br /> 현재 가계부채가 1,800조를 넘어서며 국내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. 아울러 증시도 연일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기준 금리가 인상된다면 어떤 여파가 있을까요? 계속 동결될 경우에는 어떨까요?<br /><br /> 국제유가가 연일 상승하고 있습니다. 미국산 서부텍사스유는 배럴당 80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는데요. 국제유가가 급등하는 원인, 어디에 있다 보시나요?<br /><br /> 수요는 늘고 있지만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유가 상승세는 한동안 이어질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게다가 겨울이 다가오며 앞으로 더 원유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우려도 더해지고 있는데요. 에너지 가격 상승은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 원인이기도 한데 향후 우리 경제에 위험요소가 되진 않을까요?<br /><br /> 부동산, 주식, 코인 등 자산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20·30세대, 이른바 MZ세대 내의 자산 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 합니다. 사회활동 기간도 짧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가 더 벌어진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부의 대물림으로 인한 자산 격차가 더 벌어지지 않기 위해 우리 사회에 고민이 더 필요해 보이는데요. 이런 가운데 정부가 상속세 개편에 대한 검토 의지를 밝혀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최고세율을 낮춰야 한다는 입장과 부의 대물림을 해결하기 위해 강화하자는 의견이 충돌하고 있는데 어떻게 합의점을 찾아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